논어

성인이 걸어온 길을 좇아가다 보면 군자의 길로 갈 수 있다.

애인논어 2015. 10. 13. 09:09



(1608회 4차연재 논어, 선진19)

자장이 선인(善人)의 도를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성인의 발자취를 따라 밟지 않으면 역시 안방(성인의 경지)으로 들어갈 수 없다.”

 

자장의 사람됨이 외형적인 것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다. 그렇기에 공자님께서 자장의 허물을 넌지시 질책하면서 비유하신 것이다. 성인은 자랑하지 않고, 사치하지 않고, 사사로운 욕심이 없고 오로지 성심을 다하여 인도(仁道)의 길만 간다. 성인은 될 수 없어도 성인이 걸어온 길을 좇아가다 보면 군자의 길로 갈 수 있는 것이다. 모범이 되는 사람을 기리는 것도 또한 같은 뜻일 것이다.

 

자장 문선인지도한대 자왈 불천적이니 역불입어실이니라

(子張 問善人之道 子曰 不踐迹 亦不入於室)

밟을 천(踐). 자취 적(迹). 또한 역(亦). 방 실(室)

 

-예광 장성연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자장허물 지적하며 외형에만 치중말라

성인이란 자랑하지 아니하고 검소하여

욕심없이 성심다해 바른길은 걷노라면

성인의길 따라가며 군자의길 갈수있네

 

#논어 #공자 #애인논어 #1080논어 #정광영 #공자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