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간사함이 없으면 곧 덕(德)이 되는 것이다

애인논어 2016. 6. 24. 08:23




(1864회. 5차연재 논어,위정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시경 삼백 편은 한마디로 표현하면 생각에 사악함이 없는 것이라 하겠다.”

 

시경(詩經)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이라고 할 수 있다. 공자님이 시 305편을 산정(刪定)한 후 한 말씀이다. 세상의 민심을 알고자한다면 현재의 시(詩)를 읽어보라.

사무사(思無邪) 생각이나 상념에 사악함이 없다. 곧 정성(精誠)이다.

간사함이 없으면 곧 덕(德)이 되는 것이다.

간사함은 사사로움에서 나오는 것이다. 그래서 간사함이 없고 사사로움을 없애는 것이 군자의 수신(修身) 목표다. 생각함에 간사함이 없다면 군자라 할 수 있다.

“시(詩)는 즐거울 때는 화락(和樂)하게 나타나고, 고통스러우면 애절하고 원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시는 인간의 감정과 사상을 아름답고 부드럽게 표현한다. 마음속에 있을 때는 뜻이지만 말로서 표현되면 시가 되는 것이다.” -논어집주-

 

자왈 시삼백에 일언이폐지하니 왈 사무사니라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

시경 시(詩). 덮을 폐(幣). 생각할 사(思). 간사할 사(邪)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시의세계 살펴보면 시경이란 최고고전

시속에는 사무사로 사악함이 전혀없이

언제든지 정성다해 시작업을 해야하네

시를짓는 상황따라 표현되는 시의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