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반드시 명분을 바로잡겠다
애인논어
2018. 9. 13. 11:24
(2566회 6차연재 논어, 자로3)
자로가 여쭈었다. “위나라 임금이 선생님을 모셔서 정치를 맡긴다면 무엇부터 먼저 하시겠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반드시 명분을 바로잡겠다.”
자로가 아뢰었다. “그렇습니까? 선생님께서 현실과 거리가 먼 것이 아닌가요?
어째서 명분부터 바로 잡으시려고 하시는지요?”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로야 너는 무례하구나. 군자는 자기가 모르는 것은 입을 다무는 법이니라. 명분이 바르지 못하면, 말이 순조롭게 전달되지 못하고, 말이 순조롭게 전달되지 못하면, 모든 일이 성취되지 않으며, 모든 일이 성취되지 않으면, 예악이 흥하지 못하고, 예악이 흥하지 않으면, 형벌이 바르게 시행되지 못하며, 형벌이 바르게 시행되지 못하면, 백성들은 손발을 둘 곳이 없어진다.
그러므로 군자가 사물의 이름을 붙일 때는 반드시 말할 수 있게 하며, 말했다면 반드시 행동으로 옮겨야 하는 것이다.
군자는 자신의 말에 조금이라도 소홀한 바가 있어선 아니 되느니라.”
* 정자가 말했다. "이름이나 명분과 사실은 서로 어울려야 한다. 한 가지 일에 있어 소홀히 하면, 나머지는 모두 구차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명(正名) = 각자 맡은 바 해야 할 도리를 지키도록 바로잡아주는 것. = 명실상부(名實相符)
자로왈 위군대자이위정하시나니 자장해선이니잇꼬 자왈 필야정명호인저 자로왈 유시재라 자지우야여 해기정이리잇꼬 자왈 야재라 유야 군자어기소부지에 개궐여야니라 명부정이면 즉언불순하고 언불순이면 즉사불성하고 사불성이면 즉례악불흥하고 예악불흥이면 즉형벌부중하고 형벌부중이면 즉민무소조수족이니라 고군자명지인댄 필가언야며 언지인댄 필가행야니 군자어기언에 무소구이이의니라
(子路曰 衛君待子而爲政 子將奚先 子曰 必也正名乎 子路曰 有是哉 子之迂也 亥其正 子曰 野哉 由也 君子於其所不知 蓋闕如也 名不正 則言不順 言不順 則事不成 事不成 則禮樂不興 禮樂不興 則刑罰不中 刑罰不中 則民無所措手足 故君子名之 必可言也 言之 必可行也 君子於其言 無所苟而已矣)
반드시 필(必). 바로잡을 정(正). 명령할 명(名) 따를 순(順). 형벌 형(刑). 놓을 조(措). 덮을 개(蓋). 대궐 궐(闕)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바른정치 하려거든 명분지켜 일을하고
명분이나 실제행동 어울리게 해야만이
이름따라 직책따라 명실상부 하게되니
이런정치 펼쳐야만 국민들이 편하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