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예의를 몸으로 보여주셨다

애인논어 2021. 6. 30. 09:21

녹청자 흙궁 김갑용명장

(2984. 7차 연재 논어, 자한 9)

공자님이 상복을 입은 사람을 보거나, 관복을 입은 사람이나, 시각장애인이 나타나면, 비록 어린 사람일지라도 반드시 일어나 예를 차리고, 또한 그 앞을 지날 때는 종종걸음으로 빨리 지나셨다.

 

이것이 성심(誠心)이다. ()을 당한 사람을 애통하고, 공직을 수행하는 사람에게는 예의를 갖추고, 장애인은 가엾게 여겼다.

공자님이 살아가는데 최소한의 예의를 몸으로 보여주셨다. 요즘같이 예의 없는(無禮) 세상에 각인해야 할 기본 예의다.

아픔을 같이하고, 어려움을 배려하며, 공직 수행은 국민의 봉사자로서 공공적인 일이다. 그러기에 충직한 공직자에게 더욱 예를 갖춰야 할 것이다. 하지만 예의를 갖춰줄 공직자가 많지 않은 게 문제다.

 

자견자최자와 면의상자와 여고자하시고 견지에 수소나 필작하시며 과지필추러시다

(子見齊衰者 冕衣裳者 與瞽者 見之 雖少 必作 過之必趨)

가지런할 제, 옷자락 자(). 쇠할 쇠, 상복 최(). 면류관 면(). 소경 고(). 비록 수(). 빨리 갈 추()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상을당한 사람에겐 애통함을 보이셨고

관복입은 공직자나 맹인이나 불편한자

거리에서 만날때는 예를갖춰 종종걸음

몸소행해 보이시던 공자님이 떠오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