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것도 배움을 떠나서는 제구실을 못 한다
좋은 것도 배움을 떠나서는 제구실을 못 한다
(3217회 7차연재 논어, 양화8)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야 너는 여섯 가지 말 속에 숨어있는 여섯 가지 폐단을 들어보았느냐?” 대답해 아뢰었다. “아직 못 들었습니다.” 이리 오너라 내가 너에게 말해주겠노라.
인(仁 어짊)을 좋아하면서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어리석음이다.
지(知 알기)를 좋아하되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허황하게 된다.
신(信 믿음)을 좋아하면서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남을 해치게 된다.
직(直 곧기)을 좋아하되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각박하다.
용(勇 용기)을 좋아하면서 배우기를 싫어하면 그 폐단은 난동이 된다.
강(剛 굳세기)을 좋아하며, 배우기를 싫어하면 그 폐단은 망발을 부리는 것이다.
육언육폐(六言六蔽)를 말씀하신다.
육언은 모두 아름다운 덕이다. 그러나 한갓 좋아하기만 하고 그 이치를 분명히 배우지 않는다면 각각 폐단이 있게 된다. 아무리 좋은 것도 배움을 떠나서는 제구실을 못 한다는 것이다. 호학(好學)하라.
자왈 유야아 여문육언육페의호아 대왈 미야로이다 거하라 오어여호리다 호인불호학이면 기폐야우오 호지불호학이면 기폐야탕이오 호신불호학이면 기폐야적이오 호직불호학이면 기폐야교오 호용불호학이면 기폐야란이오 호강불호학이면 기폐야광이니라
(子曰 由也 女聞六言六蔽矣乎 對曰 未也 居 吾語女 好仁不好學 其蔽也愚 好知不好學 其蔽也蕩 好信不好學 其蔽也賊 好直不好學 其蔽也絞 好勇不好學 其蔽也亂 好剛不好學 其蔽也狂)
어리석을 우(愚). 흩어질 탕(蕩). 도적 적(賊). 목맬 교(絞). 어지러울 란(亂). 굳셀 강(剛). 미칠 광(狂)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인이좋아 하면서도 배우기를 싫어하면
그폐단은 어리석음 굳이따라 가려느뇨
알아보기 좋아하며 안배우면 허황이요
신이좋다 배우기를 꺼려하면 남을해쳐
곧기좋아 하면서도 안배우면 각박하다
용감하길 좋아하며 안배우면 난동이요
굳센것을 좋아하며 안배우면 망발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