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6회 4차연재 논어, 옹야1)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옹은 가히 남면(임금)할만하다.”
중궁(雍)이 “자상백자는 어떠한가요?” 하고 물었다.
이에 공자님이 대답했다. “좋다, 그는 소탈하고 걸림이 없다.”
중궁이 다시 물었다. “마음과 몸가짐을 경건하게 하면서 소탈하고 대범하게 백성을 대한다면 더욱 좋지 않겠습니까? 몸가짐이 소탈하면서 대범하고, 행동마저 소탈하고 대범하다면 지나치게 소탈하지 않겠습니까?”
이에 공자님이 대답했다. “그대(雍)의 말이 옳다.”
공자님은 말주변은 없었으나 인덕이 높은 제자 옹(雍)을 임금감이라고 칭찬한다.
임금이 남쪽을 바라보고 않아 신하의 정사를 듣고 있기에 북면(北面)은 신하, 남면(南面)은 군왕이라고 한다.
집주(集註)에 “자신이 경건하게 처신하면, 심정이 바르게 서고 자신을 엄히 다스리게 된다. 반대로 자신을 엄하게 다스리지 않는다면 마음속에 중심이 없게 되고 자신을 다스리는데 소홀하게 된다.”
백성이 높고 임금이 낮다는 마음, 자신은 낮고 남은 높다는 마음가짐으로 처신한다면 군자라 이를 것이다.
자왈 옹야는 가사남면이로다 중궁문 자상백자한대 자왈 가야 간이니라 중궁왈 거경이행간하야 이림기민이면 불역가호이꼬 거간이행간이면 무내대간호이꼬 자왈 옹지언이 연하다
(子曰 雍也 可使南面 仲弓問 子桑伯子 子曰 可也簡 仲弓曰 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 居簡而行簡 無乃大簡乎 子曰 雍之言 然)
* 뽕나무 상(桑). 공경할 경(敬). 간명할 간(簡). 살 거(居). 임할 림(臨)
-예광 장성연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말재주는 없지만은 인덕높은 제자인옹
경건하게 처신하니 임금감이 알맞도다
자신에게 엄격해야 바른정치 할수있고
백성들이 편안하고 태평성대 이룬다오
#논어 #공자 #애인논어 #1080논어 #정광영 #공자왈
<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ch/1080nono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자는 궁핍하고 다급한 사람을 돕고 보태주지 부유한 사람에게 더 보태주지는 않는다. (0) | 2015.05.16 |
---|---|
노여움을 남에게 옮기지 않았고, 잘못을 두 번 다시 하지 않았다. 불천노(不遷怒), 불이과(不貳過) (0) | 2015.05.15 |
인간이 동물과 다른 것이 바로 호학(好學)하는 것이다. (0) | 2015.05.13 |
남의 허물을 보기 전에 스스로 거울에 비쳐 자신의 허물이 무엇인가 살펴보라. (0) | 2015.05.12 |
“어른을 편안하게 하겠고, 벗들에게 신의를 지키겠으며, 연소자를 사랑으로 품고자 한다.” (0) | 201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