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2회 4차연재 논어, 자한11)
공자님이 깊은 병을 앓자, 자로가 문인들을 공자님의 가신으로 꾸며 장사를 준비했다.
병이 좀 차도를 보이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오래도록 자로가 속여 왔구나. 나에게 가신이 없는데도 가신이 있는 것처럼 했으니 누구를 속이려느냐? 하늘을 속이자는 것이냐? 또 나는 가신들 앞에서 죽느니보다는 차라리 너희들 앞에서 죽는 것이 좋은 것이다. 또한 내 비록 성대한 장례식을 치르지 못한다 해도 너희들이 내가 길에서 죽도록 하겠느냐?”
제자들이 공자님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 가신이 있는 것 같이 꾸민 것이었다. 하지만 예의에 벗어나는 것은 하지 말라는 것이다.
예를 어기면 하늘을 속이는 것이다.
예를 어기지 말라. 예로 시작해서 예로 끝맺음을 해야 하는 것이다.
자질병이시어늘 자로사문인으로 위신이러니 병문왈 구의재라 유지행사야여 무신이위유신하니 오수기오 기천호아 차여여기사어신지수야론 무녕사어이삼자지수호아 차여종부득대장이나 여사어도로호아
(子疾病 子路使門人 爲臣 病間曰 久矣哉 由之行詐也 無臣而爲有臣 吾誰欺 欺天乎 且予與其死於臣之手也 無寧死於二三子之手乎 且予縱不得大葬 予死於道路乎)
* 병 질(疾). 오래 구(久). 누구 수(誰). 또 차(且). 나 여(予). 장사지낼 장(葬)
-예광 장성연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예를지켜 행하시오 거짓행동 하지마오
예를알고 따르지를 아니함은 허물이요
거짓행동 하는것은 하늘속인 죄가되니
그러므로 정직하게 사는법을 배우라네
#논어 #공자 #애인논어 #1080논어 #정광영 #공자왈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자가 거주하면 예의가 없다가도 예의가 있어진다. (0) | 2015.08.20 |
---|---|
나는 사줄 사람을 기다리고 있다. (0) | 2015.08.19 |
박문약례(博文約禮)는 넓게 배우고 배운 것을 행하라는 것이다. (0) | 2015.08.17 |
불구자는 가엾게 여겼다. (0) | 2015.08.16 |
“봉황새도 오지 않고 황하에서 도문(圖紋)도 나오지 않으니 다 틀렸구나.” (0) | 2015.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