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을 갈고 닦아 날마다 새롭게 태어나라
(3295회 8차연재 논어, 학이 15)
자공이 물었다. “가난해도 아첨하지 않고 부귀해도 교만하지 않으면 어떻습니까?”
공자님이 대답했다. “괜찮겠지. 하지만 가난해도 삶을 즐거워하고, 부유해도 예를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다.”
자공이 물었다. “시경에서 절차탁마라 하였는데 이를 두고 한 말입니까?”
공자님이 대답했다. “사야 비로소 너와 더불어 시를 논할 수 있겠다. 지난 일을 말해주면 미래를 아는구나.”
절차탁마(切磋琢磨) 절(切)은 뼈를 가공함이고, 차(磋)는 상아를 가공하는 것이며, 탁(琢)은 구슬을 가공함이고, 마(磨)는 돌을 가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자신을 갈고닦아 날마다 새롭게 태어나는 것이니 이것이 수신(修身)이다.
뼈를 간(切) 듯(如), 상아를 간(磋) 듯(如), 구슬을 간(琢) 듯(如), 돌을 간(磨) 듯(如).
절차탁마(切磋琢磨)의 원문이다. 학문이나 수양뿐만 아니라 기술을 익히고 사업을
이룩하는 데는 쉬지 않고 수없이 많은 공을 들인다는 뜻이다.
학문(學文)은 한번 배움으로 끝나는 게 아니다, 날마다 새롭게 태어나도록 갈고 닦아라(日新) 라는 뜻이다.
여절여차자 도학야 여탁여마자 자수야(如切如磋者 道學也 如琢如磨者 自修也)-> “자를 듯하고 쓸 듯한 것은 학문을 말하는 것이요, 쪼듯 하고 갈 듯 함은 스스로 닦는 일이다.”라고 하여 절차(切磋)는 학문을 뜻하고, 탁마(琢磨)는 수양을 뜻한다. -대학-
자공왈 빈이무첨하며 부이무교하되 하여입니까? 자왈 가야나 미약빈이락하며 부이호례자야니라 자공왈 시운여절여차하며 여탁여마라 하니 기사지위여인저 자왈 사야 시가여언시이의로다 고저왕이지래자이로다
(子貢曰 貧而無諂 富而無驕 何如 子曰 可也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 子貢曰 詩云 如切如磋 如琢如磨 其斯之謂與 子曰 賜也 始可與言詩已矣 告諸往而知來者)
알랑거릴 첨(諂). 교만할 교(驕). 같을 약(若). 칼로 벨 절(切). 줄로 쓸 차(磋). 옥을 다듬을 탁(琢). 숫돌로 갈 마(磨). 어조사 저(諸)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가난해도 아첨말고 부자라도 겸손하라
가난해도 삶을즐겨 부유해도 예를지켜
학문이나 수양이나 절차탁마 잊지말며
모든일에 정성다해 공을들여 실천하라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의 근본은 오로지 덕으로 행하여야 (0) | 2022.06.24 |
---|---|
내가 남을 알지 못함을 걱정해야 한다 (0) | 2022.06.23 |
군자는 자신보다 남을 먼저 생각한다 (0) | 2022.06.21 |
남을 높이고 나를 낮추라 (0) | 2022.06.20 |
조화를 귀하게 여겨야 한다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