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군자불기(君子不器)

애인논어 2022. 2. 21. 21:59

 

녹청자 흙궁 김갑용명장

군자불기(君子不器)

 

(3187. 7차 연재 논어, 위령공33)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작은 일은 몰라도 큰일을 맡을 수 있고, 소인은 큰일은 맡을 수 없지만 작은 일을 잘 할 수 있다.”

 

군자불기(君子不器)를 말씀하신다. 군자는 일정한 용도로 쓰이는 그릇과 같은 것이 아니기에 큰일을 맡아도 근본을 알기에 무난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인과 소인의 차이다.

군자는 사소한 일로 그의 재능과 인덕을 판단할 수 없다. 소인도 어느 한 가지라도 취할 점이 있다는 것이다. 인재를 관찰하는 방법도 된다.

 

자왈 군자불가소지 이가대수야요 소인불가대수 이가소수야니라

(子曰 君子不可小知 而可大受也 小人不可大受 而可小受也)

받을 수()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군자의일 하는것은 일정하지 아니해도

일의근본 잘알기에 일이커도 할수있네

소인들은 큰일수행 어렵기에 못하지만

작은일은 그에맞게 잘할수가 있는거네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않는다  (0) 2022.02.24
정성을 다하여 인(仁)을 행하라  (0) 2022.02.23
정치의 근본은 인덕(仁德)  (0) 2022.02.20
군자의 본분  (0) 2022.02.19
배움과 생각을 함께해야 한다  (0) 2022.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