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는 작은 것을 취하지 않는다
(3250회 7차연재 논어, 자장4)
자하가 말했다. “비록 작은 도라도 반드시 볼 만한 것이 있다. 그러나 큰 뜻을 이루는데 막힐까 두려워한다, 그런 까닭에 군자는 작은 것을 취하지 않는다.”
군자의 길을 제시한다. 대도(大道)는 인도(仁道)를 말하고, 소도(小道)는 기능적인 능력을 말한다. 그렇다고 기능적인 것을 깎아내리는 것은 아니다. 큰 뜻을 펼치려는 군자가 정해진 그릇(小道) 안에서 행하다 보면 자신의 이해관계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군자의 본분은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군자는 작은 것에 연연치 말고, 큰 도를 펼치라는 것이다.
군자불기(君子不器) -> 군자는 일정한 용도로 쓰이는 그릇과 같은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군자는 한 가지 재능에만 얽매이지 않고 두루 살피고 원만하다.
자하왈수소도나 필유가관자언이어니와 치원공니라 시이로 군자불위야이니라
(子夏曰 雖小道 必有可觀者焉 致遠恐泥 是以君子不爲也)
비록 수(雖). 볼 관(觀). 막힐 니(泥).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군자의길 가려거든 넓은길을 걸어가오
좁은길을 가다보면 넓은길도 나오는법
인도의길 대도이며 기능의길 소도라도
군자로서 제할일을 확실하게 잘하시오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자는 학문을 가지고 그 도를 실현한다 (0) | 2022.05.06 |
---|---|
날마다 옛것을 살펴 새것을 배워라 (0) | 2022.05.05 |
벗을 사귀는 도리를 물었다 (0) | 2022.05.03 |
입으로만 하지 말고 행동으로 실천하라 (0) | 2022.05.02 |
이익을 보면 의로운가 생각하라 (0) | 2022.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