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고 가르치는 일이 공자님의 일
(3429회 8차연재 논어, 술이 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묵묵히 속으로 깊이 깨닫고 배우기를 싫어하지 않고, 남을 깨우치게 하는 것에 게으르지 않았다. 그 밖에 다른 일이 나에게 있겠는가?”
배우고 가르치는 일이 공자님의 일이었다. 학문(學文)하는 자의 태도를 보여준 것이다.
온전한 학문을 하려는 자는 깊이 새겨들어야 할 것이다.
자왈 묵이지지하며 학이불염하며 회인불권이 하유어아재오
(子曰 黙而識之 學而不厭 誨人不倦 何有於我哉)
잠잠할 묵(默). 표할지(識). 싫을 염(厭). 가르칠 회(誨). 게으를 권(倦)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공자님의 가르침은 깨달으며 배우라네
학문연구 하는이들 공자님의 본을받아
학문태도 반성하며 자기자신 돌아봐요
무엇보다 중요하니 공부태도 살피세나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는 것도 수양이다 (1) | 2022.11.27 |
---|---|
늘 자신의 허물을 고치고 부끄러워하는 마음 (1) | 2022.11.26 |
전술하기만 했을 뿐 창작하지 않았다 (0) | 2022.11.24 |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 (0) | 2022.11.23 |
중용의 덕은 지극하고 지극하다 (0) | 202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