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4회.419논어, 계씨4)
공자가 말했다. “이로운 벗이 셋이고 해로운 벗이 셋이다. 정직한 사람을 벗 삼고, 성실한 사람을 벗 삼고, 박학다식한 사람과 벗 삼으면 유익하다. 남의 비위를 잘 맞추고 아첨하는 사람과 벗하거나, 굽실거리는 사람과 벗하거나 빈말을 잘하는 사람과 벗하면 해롭다.”
그 사람을 알려면 친구를 봐라. 벗이 정직하면 자신의 잘못을 고칠 수 있고, 벗이 성실하면 자신도 성실해지고, 벗이 박학하면 자신도 현명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익자삼우(益者三友) -> 직자. 양자. 다문자(直者. 諒者. 多聞者)
손자삼우(損者三友) -> 편벽자. 선유자. 편녕자(便辟者. 善柔者. 便佞者)
공자왈 익자삼우요 손자삼우니 우직하며 우량하며우다문이면 익의요 우편벽하며 우선유하며 우편녕이면 손의니라
(孔子曰 益者三友 損者三友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友便辟 友善柔 友便佞 損矣) -논어 계씨 제4장-
* 성실한 량(諒). 손해볼 손(損). 이로울 익(益)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른이 말하지 않는데 말하는 것은 조급함이고, 어른이 말했음에도 대꾸를 하지 않는 것은 속을 감추는 것이다 (0) | 2014.10.26 |
---|---|
익자삼요( 益者三樂) 손자삼요(損者三樂) 남의 착한 일을 말하기 좋아하거나, 현명한 벗들을 많이 좋아하면 유익하다. (0) | 2014.10.25 |
“나라의 녹(爵祿)이 공실에서 떠난 지가 5대요, 정사가 대부에게 들어간 지 4대다. 그러니 무릇 삼환의 자손이 미약해지는 것이다.” (0) | 2014.10.23 |
일공팔공 논어, 1080 논어, 지심 정광영, 예광 장성연, 공자, 공자왈, 가사체, 노래로 배우는 논어 (0) | 2014.10.22 |
일공팔공 논어 1 1080논어 지심 정광영 예광 장성연 공자 (0) | 201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