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5회.420논어, 계씨5)
공자가 말했다. “좋아하는 일에 유익한 것이 셋이 있고, 해로운 것이 셋이 있다. 예와 악에 따라 절제하기를 좋아하거나, 남의 착한 일을 말하기 좋아하거나, 현명한 벗들을 많이 좋아하면 유익하다. 교만 방자한 쾌락을 좋아하거나, 안일하고 노는 것만 좋아하거나, 주색에 빠져 놀아나기 좋아한다면 해롭다.”
교만하고 쾌락을 즐기면 사치하고 방자해져 절도를 모른다.
안일하고 노는 것만 좋아하면 태만하고 좋은 말 듣기를 싫어하게 된다.
주색에 빠져 놀아나기 좋아한다면 음란에 빠져 소인배와 어울린다는 것이다.
교만하고 안일하고 주색잡기에 빠진다면 소인배를 벗어나기 어렵다.
공자왈 익자삼요요 손자삼요니라 요절례악하며 요도인지선하며 요다현우면 익의요 요교락하며 요일유하며 요연락이면 손의니라
(孔子曰 益者三樂 損者三樂 樂節禮樂 樂道人之善 樂多賢友 益矣 樂驕樂 樂佚遊 樂宴樂 損矣) -논어, 계씨 제5장-
* 좋아할 요(樂). 즐길 락(樂). 교만할 교(驕). 편안할 일(佚). 놀 유(遊). 잔치 연(宴)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기에는 여색을 경계하며 방탕하지 말고, 장년기에는 혈기로 싸움을 하지 말고, 늙어서는 욕심을 버려라. (0) | 2014.10.27 |
---|---|
어른이 말하지 않는데 말하는 것은 조급함이고, 어른이 말했음에도 대꾸를 하지 않는 것은 속을 감추는 것이다 (0) | 2014.10.26 |
남의 비위를 잘 맞추고 아첨하는 사람과 벗하거나, 굽실거리는 사람과 벗하거나 빈말을 잘하는 사람과 벗하면 해롭다. (0) | 2014.10.24 |
“나라의 녹(爵祿)이 공실에서 떠난 지가 5대요, 정사가 대부에게 들어간 지 4대다. 그러니 무릇 삼환의 자손이 미약해지는 것이다.” (0) | 2014.10.23 |
일공팔공 논어, 1080 논어, 지심 정광영, 예광 장성연, 공자, 공자왈, 가사체, 노래로 배우는 논어 (0) | 201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