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회.465논어, 미자10)
주공이 그의 아들 노공에게 말했다. “군자는 자기 친척에게 소홀하지 않으며, 대신들이 써주지 않는다고 원망하게 하지 않으며, 원로 공신(친구)에게 큰 잘못이 없으면 버리지 않으며, 한 사람에게 모든 것을 갖추기를 바라지 않는다.”
제대로 된 교육이다. 바른 임금이 자식에게 군자의 기본을 가르친다. 배운대로 행했으니 백성이 편안했을 것이다. 요즘 부모들이 자식들에게 바른 교육을 하고 있을까?
주공위로공왈 군자불이기친하야 불사대신으로 원호불이하며 고구무대고 즉불기야하며 무구비어일인이니라
(周公謂魯公曰 君子不施其親 不使大臣 怨乎不以 故舊無大故 則不棄也 無求備於一人)
잘난 체할 이(施). 친할 친(親). 하여금 사(使). 원망할 원(怨). 옛 구(舊). 버릴 기(棄). 갖출 비(備)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비가 위태한 것을 보면 목숨을 걸고, 이익을 보면 의로운가 생각하고.. (0) | 2014.12.12 |
---|---|
나라가 편안하면 선비가 많은 법이고, 선비가 많으면 나라가 융성해진다. (0) | 2014.12.11 |
예악(禮樂)이 무너지고 덕치(德治)가 사라지면, 민심은 뿔뿔이 사방으로 흩어지는 것이다. (0) | 2014.12.09 |
왜곡된 것을 바로 잡는 것이 군자의 의무다. (0) | 2014.12.07 |
행동으로 실천하는 것이 진정한 인(仁)이다. (0) | 201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