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1회. 4차연재 논어,학이6)
공자가 말하기를, “젊은이는 집에 들어와서는 부모에게 효도하고 밖에 나와서는 공손하며, 행실을 삼가고, 말을 성실하게 하며, 널리 뭇사람을 사랑하되 어진 이와 가깝게 지내야 하고, 이것을 행하고 힘이 남거든 글을 배워야 한다.”
젊은이들에게 살아가는 방도를 제시하신다. 효(孝).제(弟), 근(謹), 신(信). 애중(愛衆), 친인(親仁), 학문(學文)이다. 부모가 자녀들에게 이렇게 가르쳐야 하는 교육의 지표다. 가정교육이 없어지는 현실이 안타깝다.
자왈 제자입즉효하고 출즉제하며 근이신하며 범애중하되 이친인이니 행유여력이어든 즉이학문이니라
(子曰 弟子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 行有餘力 則以學文)
* 아우 제(弟). 삼갈 근(謹). 넓을 범(汎). 무리 중(衆). 남을 여(餘)
#논어 #공자 #1080논어 #정광영 #공자왈
<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ch/1080nono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있을 때도 잘하고 없을 때도 정성을 다한다면, 그 누구도 따를 것이다. (0) | 2015.01.23 |
---|---|
실천하지 않는 배움은 배움이 아니다. (0) | 2015.01.21 |
나라를 다스림에는 일을 공경하게 하여 믿게 하고.. (0) | 2015.01.19 |
먼저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야 남을 다스린다. (0) | 2015.01.19 |
“교묘하게 꾸민 말과 보기 좋게 꾸민 얼굴빛에는 어진 마음이 드물다.” (0) | 201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