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6회 5차연재 논어, 양화10)
공자님이 아들 백어에게 말했다. “너는 시경의 주남과 소남편의 시를 공부하고 그 가르침대로 행하느냐? 사람으로서 주남과 소남의 가르침을 행하지 않으면 바로 앞에 담이 서있는 듯 바르게 서서 나갈 수 없다.”
시경의 첫머리에 있는 주남과 소남은 수신(修身)과 제가(齊家)에 관한 내용으로 다시금 공자님이 아들 백어에게 시를 배워야 하는 까닭을 말해 주는 것이다. 시는 삶의 활력소다. 인간이 살아가는 자양분 역할을 하는 것이다. 시를 배우지 않으면 담벽에 막혀 서있는 것으로 비유했다. 시는 머무름 없이 앞으로 돌파하여 나가는 힘을 주는 것이다.
자위백어왈 여위주남소남의호아 인이불위주남소남이면 기유정장면이립야여인저 (子謂伯魚曰 女爲周南召南矣乎 人而不爲周南召南 其猶正牆面而立也與) ~과 같을 유(猶). 담 장(牆)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시경에서 주남소남 수신제가 내용으로
공자님이 아들에게 시공부의 뜻을알려
인생길에 활력소와 자양분이 있다하니
오늘에도 시를배워 삶을개척 하여보세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자는 허세를 부리거나 과시하지 않는다 (0) | 2017.09.05 |
---|---|
질서가 있어야 화합이 되는 것이다 (0) | 2017.09.04 |
너희는 왜 시를 공부하지 않는가? (0) | 2017.09.02 |
좋은 것도 배움을 떠나서는 제 구실을 못한다 (0) | 2017.09.01 |
내가 어찌 오이나 조롱박 같겠느냐? (0) | 2017.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