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9회.474논어, 자장8)
자하가 이르기를, “소인은 허물을 범하면 반드시 좋도록 꾸민다.”
소인이 허물을 범하면 여러 가지 핑계를 대고 허물을 덮으려 꾸민다는 것이다.
바로 들통 날 거짓을 스스럼없이 하는 자들을 많이 본다.
잘못을 인정하고 바로 고치는 자가 군자다.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자하왈 소인지과야는 필문이니라
(子夏曰 小人之過也 必文) -논어, 자장 제8장-
* 허물 과(過)
<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ch/1080nono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음을 얻은 다음에 충고해야 한다. 믿음을 받지 못하고 충간한다면 자기를 비방한다고 생각한다 (0) | 2014.12.21 |
---|---|
“군자의 모습은 세 번 변한다. 멀리서 바라보면 당당하고 가까이 나아가면 온화하고 그 말을 들으면 엄숙하다.” (0) | 2014.12.20 |
“모든 기술자는 공장에서 그 일을 이루고, 군자는 학문을 가지고 그 도를 실현한다.” (0) | 2014.12.18 |
“넓게 배우고 뜻을 도탑게 하며, 깊이 묻고 가까운 것부터 생각하면 인덕이 그 안에 있느니라.” (0) | 2014.12.17 |
“날마다 모르는 바를 알며, 달로 능히 알던 것을 잊지 않고 행하면 배움을 좋아한다고 할 것이다.” (0) | 201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