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9회. 4차연재 논어,학이14)
공자가 말했다. “군자는 배불리 먹기를 구하지 않고, 편히 살기를 구하지 않으며, 일을 미루지 않으면서 신중하고, 도를 좇아서 바르게 한다. 그러면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군자란 이렇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 욕심만 부리지 않고, 글 배우는데 힘쓰고, 말을 함부로 하지 않고, 혼자서 독단하지 않고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군자다.
자왈 군자식무구포며 거무구안하며 민어사이신어언이고 취유도이정언이면 가위호학야이니라
(子曰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敏於事而信於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
* 배부를 포(飽). 있을 거(居). 재빠를 민(敏). 삼갈 신(愼). 좇을 취(就). 이를 위(謂)
-예광 장성연 가사체로 풀어쓴 논어-
배부르게 먹지말고 편히살기 원치말라
모든일은 신중하게 도를따라 행동하며
배우기를 좋아하고 독단처리 아니해야
군자로서 바른행동 남을먼저 배려하라
#논어 #공자 #1080논어 #정광영 #공자왈
<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ch/1080nono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문(學文)이란 사람 되는 법을 배우는 일이다. (0) | 2015.01.30 |
---|---|
날마다 새롭게 태어나도록 갈고 닦아라 (0) | 2015.01.29 |
남을 높이고 나를 낮추라 그러면 남이 나를 공손히 대해준다. (0) | 2015.01.27 |
예를 활용하는 데는 조화를 귀하게 여겨야 한다. (0) | 2015.01.27 |
부친이 살아 계시면 어른의 뜻을 살펴 따르고, 돌아가셨으면 생존 시의 행적을 살펴 본으로 삼아야하느니라. (0) | 2015.01.25 |